멍발자의 개발

객체 지향 언어 본문

STUDY/Java

객체 지향 언어

개발하는 멍발자 2022. 3. 21. 15:14

객체라고 하는 건 컴퓨터, 사람, 행위에 대한 발상의 이론이다.

 

카드를 결제 = 객체

일하는 사람 = 객체

물건 = 객체

 

연쇄적으로 다 연관성이 되어 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개체의 독립성, 캡슐화

- 같은 메소드에서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동작을 실시하게 함 (다형성)

- 이미 있는 클래스의 정의를 이용해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함 (상속)

 

(1) 객체

= 물건과 같음

속성 : 객체가 가지는 정보나 상태를 가리킨다. 자바에선 변수에 해당

조작 : 객체로 하는 활동 자바에선 메소드에 해당

 

클래스

 

클래스가 없으면 객체도 없다.

클래스에는 메인 메소드도 무조건 들어가 있어야 한다.

 

객체에 갖게 하고 싶은 속성이나 조작은 클래스 형태로 기술하면 된다.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해 클래스로 기술해야 한다.

 

객체의 속성과 조작을 프로그램으로 나타내는 경우 클래스에 변수와 메소드를 정의해야 한다.

 

모델링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는 작업을 모델화라고 한다.

ex)

pc 속성(변수) = os / cpu / 메모리

pc 조작(메소드) = 전원을 켠다 /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 웹 서핑을 한다.

 

속성과 조작이 모인 것이 클래스다.

 

클래스와 객체의 관계

 

속성 값을 바꿔서 여러 개의 객체를 만들 수 있다.

모델인 클래스에서 여러 개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클래스를 바탕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객체화, 인스턴스화로 부른다. 

이로 인해 생성된 것을 객체 또는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모델이다.

 

클래스의 정의 방법

 

클래스 정의

public class 클래스명 {
	속성 (필드변수) 선언 // 필드 변수는 클래스 블록 내의 모든 메소드 내에서 사용 가능
    조작 (메소드) 정의
  }

 

필드 변수 = 멤버 변수

 

객체를 취급하는 변수에는 객체 실제 데이터가 아닌 객체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STUDY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세스와 캡슐화  (0) 2022.03.23
클래스와 메소드  (0) 2022.03.22
메소드  (0) 2022.03.18
반복 처리  (0) 2022.03.16
프로그램 계산과 조건 분기  (0) 2022.03.1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