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TUDY/Java (23)
멍발자의 개발
public과 private를 합쳐서 액세스 한정자라고 부른다. private public과 다르게 private 연산자를 쓰면 해당 클래스 내에서만 볼 수 있게 된다. class Computer2 { // 기본값 액세스한정자 private String os; // private 멤버변수 private int memory; // private 맴버변수 public void show() { // public 맴버 메소드 System.out.println("PC의 OS는 " + os + "입니다."); System.out.println("메모리는 " + memory + "GB입니다."); } } public class PrivateMember { // public 액세스한정자 public static voi..
클래스와 메소드 객체를 생성하는 것만으로도 메소드에 액세스 해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package Chap10; class Computer4 { String os; int memory; // 필드변수의 값을 표시하는 메소드 public void show() { System.out.println("PC의 OS는 " + os + "입니다."); System.out.println("메모리 크기는 " + memory + "GB입니다."); } } public class InstanceMethod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mputer4 클래스에서 객체 생성 Computer4 com = new Computer4(); //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메소드 ..
객체라고 하는 건 컴퓨터, 사람, 행위에 대한 발상의 이론이다. 카드를 결제 = 객체 일하는 사람 = 객체 물건 = 객체 연쇄적으로 다 연관성이 되어 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개체의 독립성, 캡슐화 - 같은 메소드에서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동작을 실시하게 함 (다형성) - 이미 있는 클래스의 정의를 이용해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함 (상속) (1) 객체 = 물건과 같음 속성 : 객체가 가지는 정보나 상태를 가리킨다. 자바에선 변수에 해당 조작 : 객체로 하는 활동 자바에선 메소드에 해당 클래스 클래스가 없으면 객체도 없다. 클래스에는 메인 메소드도 무조건 들어가 있어야 한다. 객체에 갖게 하고 싶은 속성이나 조작은 클래스 형태로 기술하면 된다.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해 클래스로 기술해야 한다. 객체..
메소드는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 한다. 어떤 메소드를 호출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는 to를 입력하고 탭을 치자. 기존에 만들어져있던 메소드를 기능 추가해서 만들고 싶다 = 오버라이드 메인 메소드 앞에 다른 메소드 기능을 서술하였을 때는 꼭 return으로 반환하기 void = 리턴하는 값이 없는 메소드 메소드 기본 구문 static 수식자 리턴형 메소드명(인수) { 처리내용 return 문; } 메소드 안에 설정되는 인수를 가인수라고 부른다. 개수, 순서, 자료형 선언이 다 맞아야 메소드를 실행할 수 있다. 메소드를 부품처럼 사용할 수 있다. public class Method { static void checkPass(int point){ // 메소드 선언과정 if(point >= 60){..
for문 for (카운터변수, 반복처리조건식, 업데이트식) { 반복처리할 내용 } public class ForLoo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 = 0; i < 3; i++) { System.out.println("반복하자 Loop!"); } } } * 반복처리할 횟수를 알고 있다면 for문을 사용하는 것이 간결하고 좋다. while문 while (조건식) { 반복 실행 내용 } package chap07; public class WhileLoo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while문 제어하는 변수 i를 선언하고 1로 초기화 int i = 0; while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