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1)
멍발자의 개발
객체라고 하는 건 컴퓨터, 사람, 행위에 대한 발상의 이론이다. 카드를 결제 = 객체 일하는 사람 = 객체 물건 = 객체 연쇄적으로 다 연관성이 되어 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개체의 독립성, 캡슐화 - 같은 메소드에서 객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동작을 실시하게 함 (다형성) - 이미 있는 클래스의 정의를 이용해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함 (상속) (1) 객체 = 물건과 같음 속성 : 객체가 가지는 정보나 상태를 가리킨다. 자바에선 변수에 해당 조작 : 객체로 하는 활동 자바에선 메소드에 해당 클래스 클래스가 없으면 객체도 없다. 클래스에는 메인 메소드도 무조건 들어가 있어야 한다. 객체에 갖게 하고 싶은 속성이나 조작은 클래스 형태로 기술하면 된다.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해 클래스로 기술해야 한다. 객체..
메소드는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 한다. 어떤 메소드를 호출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는 to를 입력하고 탭을 치자. 기존에 만들어져있던 메소드를 기능 추가해서 만들고 싶다 = 오버라이드 메인 메소드 앞에 다른 메소드 기능을 서술하였을 때는 꼭 return으로 반환하기 void = 리턴하는 값이 없는 메소드 메소드 기본 구문 static 수식자 리턴형 메소드명(인수) { 처리내용 return 문; } 메소드 안에 설정되는 인수를 가인수라고 부른다. 개수, 순서, 자료형 선언이 다 맞아야 메소드를 실행할 수 있다. 메소드를 부품처럼 사용할 수 있다. public class Method { static void checkPass(int point){ // 메소드 선언과정 if(point >= 60){..
for문 for (카운터변수, 반복처리조건식, 업데이트식) { 반복처리할 내용 } public class ForLoo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 = 0; i < 3; i++) { System.out.println("반복하자 Loop!"); } } } * 반복처리할 횟수를 알고 있다면 for문을 사용하는 것이 간결하고 좋다. while문 while (조건식) { 반복 실행 내용 } package chap07; public class WhileLoop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while문 제어하는 변수 i를 선언하고 1로 초기화 int i = 0; while (i

프로그램 계산 사칙연산 예시 package chap05; public class PlusOperat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2 + 2 = " + 3 + 2); // ① System.out.println("3 + 2 = " + (3 + 2)); // ② System.out.println("3 * 2 = " + 3 * 2); // ③ 곱셈은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괄호를 안 해도 먼저 처리된다. System.out.println("5 / 4 = " + 5 / 4.0); // ④ System.out.println("9 % 7 = " + 9 % 7); // ⑤ } } //결과 2 + 2 = 32 3 + 2 = 5 3 *..

변수 변수에 대입하는 구체적인 값은 '리터럴'이라고 부른다. 문자의 경우는 '문자 리터럴' 숫자의 경우는 '숫자 리터럴' 변수를 썼을 때 정확한 자료형을 쓸 수 있도록 하자. 1. 정수(int형) 소수를 포함하지 않는 값을 표현하는 자료형 ex. 1, 0, 100, -999 2. 소수(float형, double형) 소수를 포함하는 값을 표현하는 자료형 ex. 1.22, 3.25, -55.9 3. 문자(char형) 한 개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자료형, 따옴표(')가 필수다. ex. 'A', 'b', 'C' 4. 문자열(String형) 문자열을 취급하기 위한 자료형, 쌍따옴표(")가 필수다. ex. "ACB", "BUSAN". "한국" 5. 논리형(boolean형) true, false로 취급하기 위한 자..